골목의 스케일 - 대지가 위치한 곳은 서울의 오래된 동네이다. 가까운 거리에 8차선 도로, 4차선 도로, 5m 도로, 그리고 마지막으로 세 집만 사용하는 2m의 막다른 도로까지 다양한 스케일의 길을 거쳐야 다다를 수 있는 작은 대지이다. 각 도로 폭의 차이는 단지 물리적인 차이만이 아니라 그 도로를 사용하는 사람들, 그리고 사람들끼리의 관계도 각각 다르다. 좁고 짧은 골목은 어느 정도 사유화 되어 그곳에서 보이는 풍경이나 사용성은 넓은 도로에서 보이는 모습과는 사뭇 달라진다. 자기 집에서 키우던 화분이나 일부 개인의 물건들이 골목으로 나와 특이한 성격을 만들어 내기도 하고, 그 골목의 사용성도 그런 구성에 따라 달라진다. 이런 모습들로 인해 집과 골목과의 영역 구분도 모호해진다. 그런 관계는 서로의 관계를 느슨하게 만들어 내고 그것에 따라 섬세하게 그곳의 특징들이 드러난다.

Scale of Village Alley - Construction site is located in old neighborhood in Seoul. To reach the site, you have to go through various scales of roads; an eight-lane road, four-lane, five-lane, and lastly the closed-end 2m road which is only used by three households. Not only the physical scale, but also the people who use the roa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differ from each other. Narrow and short allies used by few neighbors become privatized, therefore street scenes and space use differ from wide roads. Flowerpots and personal belongings come out to the street and make unique sceneries. The use of the street changes accordingly. Due to these circumstances, distinction between house and street gets blurred,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come out to the front.
주택의 구성 - 1층 현관에서 신을 벗고 계단으로 바로 올라간다. 이곳 계단도 천장이 높고 측벽은 막혀 있어 공간의 높이를 최대로 계획하였으며 천장과 만나는 벽의 긴 고측창을 통해 서향의 오후의 빛을 내부로 받아들인다. 2층은 이곳에서 자랄 아이를 위한 다양한 높이 차이를 제안하였고, 이는 이곳의 특징적인 공간의 요소가 될 것이다. 몇 개의 계단을 오르면 마주하게 되는 3층은 서재, 화장실과 욕실, 아이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실들은 위층까지 하늘을 향해 뚫려 있는 작은 중정들을 중심으로 계획되었고 이 중정을 열면 환기와 채광이 적극적으로 기능하게 설계되었다. 최상층의 부부침실은 주택에서만 맛볼 수 있는 외부 공간인 외부 테라스와 바로 연결되어 있다. 채광과 환기에 대한 부분을 포함하는 작은 집 내에서의 다양한 공간 구성은 이 집만의 특징이다. 다양한 행위들이 일어나고 외부 주변 건물들과의 관계를 고려한 이곳은 이전에 경험한 훨씬 넓은 주거보다 다양하고 특별한 추억을 많이 만들어줄 것으로 기대한다.

Composition of Residence - You take off the shoe in the entrance and go right up to the stair. Ceiling is planned in maximum height since the both side of the wall are solid. Wide clerestory window located on the wall meeting the ceiling bring in western sun in the afternoon. Variety of level difference in second floor was proposed for the children who will grow up in the house, and this became the characteristic of the space. If you take few steps higher, you can reach third floor composed of study room, bathroom, and kid’s room. Each room has courtyard opened to sky. Natural ventilation and lighting are achieved through the courtyard. Lastly, a master bedroom is located on the top floor with a terrace accessible from the room, which is said to be a privilege of detached house. Various spatial compositions, lighting, and ventilation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house. Diverse activities taking place in the house and relationships between surrounding buildings are deeply considered. We wish this small house to make special and colorful memories in comparison with the large houses before.
골목과 집과의 경계 - 좁은 골목에서 나타나는 유연한 경계가 집과 집의 관계를 잘 보여준다. 우리는 좁은 골목에 접한 1층의 긴 경계를 담이나 벽으로 구성하지 않고 투시가 가능하고 움직일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만으로 유동적인 경계를 만드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였다. 그리고 1층은 2층보다 1.5m 정도 물러나서 벽이 생기는데 이 벽의 2/3가 유리로 된 근린생활시설을 계획하였다. 이 근린생활시설은 지금 갤러리로 운영되고 있는데 작은 갤러리는 도로와의 관계를 슬라이딩 도어를 닫아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도 있고, 도어를 열어 도로가 확장되어 외부의 시선을 받아들일 수도 있다. 1층 갤러리의 바닥은 골목의 바닥 높이보다 1m 정도 낮춰 내부 천장 높이를 높게 계획함으로써 개방감을 최대화했다. 골목에 면한 한쪽에 있는 주택 현관 도어 앞은 슬라이딩 도어로 항상 막혀 있음으로써 벽의 느낌을 주어 프라이버시를 강조하였다.

Boundary of House and Street - Flexible boundaries found in narrow streets illustrate relationship between houses. We began the project with making flexible boundary; we designed the long boundary facing the narrow alley as sliding doors which allow visibility rather than fence or solid wall. The ground floor wall is set 1.5m back from the upper floor wall, and we composed the 2/3 of the wall with transparent glass. This space is currently used as gallery. This small gallery can secure its privacy by closing the sliding door, or draw people’s attention by opening it. Openness in gallery space is maximized by raising the ceiling height through planning the floor level 1m lower than ground level. In case of the main door to residence which is facing the street, the sliding door conceals it in every condition in order to emphasize privacy.
Previous
Next